퍼포먼스 마케팅 스쿨 케이스 스터디 2차시 | 커머스 | 퍼포먼스 마케팅 성과 사례 분석하기 | ‘G마켓’의 구매전환 캠페인

2025. 3. 24. 16:40퍼포먼스 마케팅/4주차

케이스 스터디 2차 - 퍼포먼스 마케팅 성과 사례 분석하기

CHAPTER 2-1 <사례 분석>
‘G마켓’의 구매전환 캠페인 에 대해 알아볼게요


01 G마켓은 카시오시계 광고를 송출하는데 어떤 매체/광고상품/타겟팅을 활용했을까요?

📌매체

(1) 네이버

  • 검색광고 (파워링크)
    • 네이버 검색결과 상단에 텍스트 광고를 노출하여, '카시오 시계', '지샥 할인' 등 키워드를 검색한 구매의도자에게 도달
    • 키워드 타겟팅 기반으로 집행하여 높은 클릭률과 전환율을 기대할 수 있었는데, 실제로 검색 채널은 이커머스에서 전환율 ~2.9%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유입경로임
  • 쇼핑검색광고
    • 네이버 쇼핑탭과 통합검색 내 상품 이미지와 가격 정보를 노출
    • 시각적 정보를 제공해 클릭 유도하여 카시오 시계의 디자인과 가격 매력을 즉시 전달하고, 클릭 이후 구매전환으로 이어지도록 함
    • 구매의사가 높은 고객의 클릭을 유도
  • 디스플레이 광고 (GFA 성과형)
    • 네이버 홈피드, 뉴스 등 지면에 배너 광고를 노출
    • 리타겟팅 및 관심사 타겟팅 활용
    • 네이버 이용자 데이터 기반 관심사 타겟팅도 적용하여, “패션잡화” “디지털기기” 등 시계에 관심 있을 만한 집단에게 배너 노출

(2) 구글(Google)

  • 검색광고
    • “Casio watch”, “카시오 시계 가격” 등의 키워드로  Google 검색결과 상단에 텍스트 광고 집행
    • 구글을 쓰는 20~30대 남성층 등에 도달하기 위해 구글 검색광고를 운용
    • 안드로이드 기반 사용자 및 글로벌 검색 타겟 공략
  • 디스플레이 광고 (GDN)
    • G마켓에서 카시오 상품을 본 사용자가 구글 제휴 웹사이트나 유튜브, 지메일 등을 이용할 때 관련 배너를 보여주는 걸로 광고 집행
    • 카시오 시계 모델 이미지와 가격을 담은 맞춤 광고를 노출, 미완료 장바구니나 관심상품을 상기시켜 구매를 유도

(3) 유튜브 (YouTube)

  • TrueView 인스트림 광고
    • 유튜브 영상 시청 전/중간에 스킵 가능한 동영상 광고를 집행
    • 관심사 타겟팅 및 리타겟팅으로 브랜드 인지도 확대
    • 시계/패션 관련 콘텐츠 시청자, 카시오 채널 구독자 등 관심사 기반으로 설정
    • G마켓 방문자 리마케팅 리스트를 활용해 이미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에게 재미있는 영상 광고로 브랜드 친밀도를 높이는 전략을 사용

(4) 페이스북/인스타그램

  • 피드 및 스토리 광고
    • Facebook 및 Instagram의 뉴스피드
    • 스토리에 이미지, 영상, 캐러셀 형식의 광고를 노출
  • 동적상품광고(DPA)
    • G마켓 방문자에게 카시오 시계 관련 맞춤형 상품을 자동 노출하여 재유입 유도

(5) 카카오톡

  • 비즈보드 광고
    • 카카오톡 채팅목록 상단에 이미지+텍스트 형식의 광고를 노출
    • 카카오의 풍부한 사용자 데이터를 활용한 관심사 타겟팅 가능
    • 성별/연령/지역/관심사 등 정교한 타겟팅 옵션으로 G마켓의 코어 타겟(20~30대 남성 시계 관심층 등)을 지정하여 광고 효율 증가

(6) G마켓 자체 플랫폼

  • 프리미엄 AD: PC 메인 페이지 좌우 날개 배너
  • 쇼핑 타겟 AD: PC/Mobile 메인 및 서브 주요 페이지

 

📌 타겟팅 전략 요약

  • 키워드 기반 타겟팅: 검색 광고를 통해 구매의도가 명확한 사용자를 직접 유입
  • 리타겟팅: G마켓에서 카시오 시계를 조회했지만 미구매한 사용자에게 배너 또는 영상 광고로 재접촉
  • 관심사 기반 타겟팅: '시계', '전자제품', '남성 패션' 등 관심사를 바탕으로 잠재 고객에게 광고 노출
  • 동적 리마케팅(DPA): 사용자가 본 상품의 이미지 및 가격 정보를 자동으로 반영하여 맞춤 광고 제공
  • 연령/성별/지역 타겟팅: 카카오, 메타 등의 플랫폼에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 타겟 설정

📌 캠페인 운영 특징 요약

  • 검색광고(네이버·구글) → 전환 직전 구매의도자 타겟
  • 디스플레이·영상광고(네이버 GFA, GDN, 유튜브) → 브랜드 인지+리타겟팅 중심
  • SNS(페북/인스타) → 정교한 관심사 타겟팅 + 동적 상품 추천
  • 카카오톡 → 도달률 극대화 + 구매링크 연결로 앱 유입


02 G마켓이 01번 과 같은 광고운영을 위해 고려할 수 있는 여러 매체/광고상품의 스펙을 정리해봅시다. (*스펙: 광고 지면, 과금방식, 광고 단가, 예상 효율 등)

(1) 네이버 검색광고 (파워링크)

  • 광고 지면: 네이버 PC·모바일 통합검색 결과 상단 영역 텍스트 형태 광고 노출​
  • 과금방식: 클릭당 과금 (CPC)
  • 광고 단가: 평균 300원대, 경쟁 키워드는 수천 원대 가능
  • 예상 효율: CTR 2~5% (상위 노출 시 높음)​ , 전환율 약 5% 내외 (키워드 구매의도 높을수록 상승)​
  • 특징
    • 구매의도 높은 검색사용자 공략에 최적
    • 상품명/브랜드명 등 정확도 높은 키워드로 즉시 전환 유도
    • 클릭당 비용이 발생하므로 ROI 관리 필요
    • 네이버가 국내 최대 검색점유율을 가져 필수 집행 채널

(2) 네이버 쇼핑검색광고

  • 광고 지면: 네이버 검색결과 내 ‘쇼핑’ 영역 및 별도 쇼핑탭 상단 상품 이미지+가격 정보 노출 광고
  • 과금방식: 클릭당 과금 (CPC)
  • 광고 단가: 카테고리별 100~500원, 경쟁 심한 상품군은 수천 원대
  • 예상 효율: CTR 24%, 전환율 38%
  • 특징
    • 제품 이미지로 시각적 어필 가능
    • 가격 등 정보 제공으로 클릭 자체가 구매의사 반영 – 전환율 우수
    • 네이버 쇼핑 서치 트래픽이 높은 상품에 권장
    • PC·모바일 모두 노출되어 광고 범위 넓음

(3) 네이버 디스플레이 광고 (GFA 성과형) - 리타겟팅/관심사 배너

  • 광고 지면: 네이버 메인홈 피드 및 네이버 뉴스, 웹툰 등 네이티브 영역 네이버 및 제휴 매체 배너/카드형 광고 슬롯
  • 과금방식: 클릭당 과금 (CPC)
  • 광고 단가: 평균 300~500원 수준
  • 예상 효율: CTR 0.51%, 리타겟팅은 0.72%
  • 특징
    • 네이버 사용자 데이터 활용한 정교한 타겟팅 강점
    • 리마케팅 통해 미완료 구매 회수 효과 큼​
    • 브랜드 관심사 타겟으로 잠재고객 발굴에도 유용
    • 네이버 메인 등 트래픽 많은 지면에 노출되어 인지도 제고+전환 동시 달성

(4) 구글 검색광고

  • 광고 지면: Google 검색결과 상단/하단 텍스트 광고
  • 과금방식: 클릭당 과금 (CPC)
  • 광고 단가: 키워드에 따라 상이, 평균적으로 1,000~5,000원 사이
  • 예상 효율: CTR 2~10%, 전환율 3~10%
  • 특징
    • 구매의향 검색자 확보
    • 네이버 대비 점유율 낮지만 안드로이드 이용자 등 공략에 필수
    • 영문 키워드나 글로벌 타겟 노릴 때도 활용
    • 구글 애널리틱스 연계로 데이터 분석 용이

(5) 구글 디스플레이 광고 (GDN 리마케팅 등)

  • 광고 지면: 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(뉴스, 블로그 등 수만 개 제휴 웹사이트, YouTube 등)의 배너 슬롯 및 Gmail 프로모션 탭 등
  • 과금방식: CPC 또는 CPM
  • 광고 단가: 수십~수백 원 수준
  • 예상 효율: 일반 CTR 0.1% 이하, 리마케팅 시 0.5~1%
  • 특징
    • 광범위한 외부 매체 도달 가능
    • 다이나믹 리타겟팅으로 맞춤 상품광고 구현 용이
    • 유튜브 등과 크로스 리마케팅하여 멀티채널 노출 가능
    • 배너 디자인 중요 – 시각적 클릭 유도 및 명확한 CTA 필요

(6) 유튜브 동영상 광고 

  • 광고 지면: YouTube 동영상 재생 전/중간 인스트림 광고 (5초 후 건너뛸 수 있는 스킵형 영상) 또는 검색결과/추천 동영상 섬네일 등 (디스커버리 형식)
  • 과금방식: 조회당 과금 (CPV)
  • 광고 단가: 평균 30~40원/뷰
  • 예상 효율: 영상완주율(VTR) 20~30%, CTR 0.1~0.5%
  • 특징
    • 브랜딩/제품 시연에 효과적
    • 대중의 관심 끌기 및 잠재고객 풀 확보 목적
    • 스킵 가능 광고로 5초 내 임팩트 중요 – 브랜드명, 주요 USP 강조
    • 리마케팅 설정으로 영상을 본 사용자를 재타겟팅하여 전환 유도 가능

(7) 페이스북/인스타그램 광고 (피드/스토리 및 동적광고)

  • 광고 지면: Facebook 뉴스피드, Instagram 피드 및 스토리 등 SNS 피드 내 광고 이미지, 영상, 캐러셀 등 다양한 포맷
  • 과금방식: CPC 또는 CPM
  • 광고 단가: 평균 600~1,800원 (CPC)
  • 예상 효율: CTR 약 0.9%, 전환율 2~5%
  • 특징
    • 정교한 사용자 타겟팅 (연령, 성별, 관심사, 행동 등)으로 잠재고객 발굴에 강점
    • 동적 상품광고로 개인별 관심상품 노출 가능 – 리타겟팅 전환율↑
    • 비주얼 제작 중요 
    • 댓글/공유 등 참여 유도로 바이럴 효과도 기대

(8) 카카오톡 비즈보드 광고

  • 광고 지면: 카카오톡 모바일 메인 채팅목록 최상단 배너 (오픈채팅 탭 상단 등에도 노출 가능)
  • 과금방식: 클릭당 과금 (CPC)
  • 광고 단가: 평균 300~1,000원
  • 예상 효율: CTR 1% 이상, 전환율은 랜딩과 목표에 따라 상이
  • 특징: 메신저 기반 대규모 도달 + 정교한 타겟팅 가능
    • 국내 최대 메신저 노출로 도달 규모 매우 큼. 관심사·지역 등 타겟팅으로 원하는 유저층 공략
    • 카카오 생태계 연계 (톡채널 추가, 상담 등)로 전환 경로 확장 가능
    • CPC 높을 수 있어 크리에이티브 A/B테스트 통한 CTR 극대화 필요

(9) G마켓 프리미엄 AD

  • 광고 지면: G마켓 PC 메인 페이지 좌우 날개
  • 과금방식: 구좌 (1주일 단위 판매)
  • 광고 대상: 기획전

(10) G마켓 쇼핑 타겟 AD

  • 광고 지면: G마켓 PC/Mobile 메인 및 서브 주요 페이지
  • 과금방식: CPM (노출당 비용)
  • 광고 단가:
    • PC: A그룹 2,000원, B그룹 1,800원, C그룹 1,000원
    • Mobile: A그룹 4,500원, B그룹 2,000원
  • 광고 대상: 기획전, 미니샵, 상품 상세 페이지